티스토리 뷰

반응형

 

오늘은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라고 하는 처서(處暑)입니다.

 

태양의 황도(黃道)상의 위치로 정한 24절기 중 열네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서

처서(處暑)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들며, 양력 8월 23일 무렵, 음력 7월 15일 무렵 이후에 듭니다.

 

여름이 지나면 더위도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의미로, 아침 저녁으로 신선한 기운이 느껴지는 계절이기에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라고 합니다.

 

 

이 속담처럼 처서의 서늘함 때문에 파리, 모기의 극성도 사라져가고, 귀뚜라미가 하나둘씩 나오기 시작합니다.

 

마찬가지로 처서가 지나면 풀들도 힘을 잃게 됩니다. 그래서 “처서 지나면 풀들도 울며 돌아간다”고 했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처서가 지나면 뜨겁게만 느껴졌던 햇볕이 점점 누그러지고 풀도 잘 자라지 않기 때문에

 

산소 별초도 하고 논두렁의 풀도 깎고 가축들 먹일 목초도 베어 말리는 것이 다 그 때문이었습니다.

 

 

 

 

이 무렵의 날씨는 한해 농사의 풍흉(豊凶)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비록 가을의 기운이 왔다고는 하지만 햇살은 여전히 왕성해야 하고 날씨는 쾌청해야 합니다.

처서 무렵이면 벼의 이삭이 패는 때이고, 이때 강한 햇살을 받아야만 벼가 성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엇이 한꺼번에 성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를 때 “처서에 장벼(이삭이 팰 정도로 다 자란 벼) 패듯”이라고 표현하는

것도 처서 무렵의 벼가 얼마나 성장하는가를 잘 보여주는 속담입니다.

 

농사의 풍흉에 대한 농부의 관심은 크기 때문에 처서의 날씨에 대한 관심도 컸고, 이에 따른 농점(農占)도 다양했습니다.

처서에 비가 오면 장독의 곡식도 준다고 합니다. 처서에 오는 비를 '처서비[處暑雨]'라고 하는데,

'처서비에 십리에 천석 감한다.’라고 하거나 ‘처서에 비가 오면 독 안의 든 쌀이 줄어든다.’라고 합니다.

 

처서에 비가 오면 그동안 잘 자라던 곡식도 흉작을 면치 못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맑은 바람과 왕성한 햇살을 받아야만 나락이 입을 벌려 꽃을 올리고 나불거려야 하는데,

비가 내리면 나락에 빗물이 들어가고 결국 제대로 자라지 못해 썩기 때문입니다.

 

이는 처서 무렵의 날씨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는 체득적(體得的)인 삶의 지혜가 반영된 말들입니다.

 

'처서'인 오늘 제19호 태풍 솔릭이 온다고 하니 농사짓는 농부의 마음은 누구보다 더 걱정스럽다고 생각됩니다.

 

아무쪼록 무탈하게 잘 지나가서 가을들녘이 금빛 물결로 변해 넘실거리도록 모두들 풍년을 기대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처서 #풍년 #귀뚜라미 #농사 #태풍솔릭 #24절기 #가을 #투포인트 #농부의마음 #모기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