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주택을 구입할 때 다자녀 가구(3자녀에서 2자녀로 완화)

정부나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2025년 기준으로 주요 혜택을 정리해보자.

 


🔹 1. 주택 청약 우대 혜택

 

국민주택 청약 시 특별공급

  • 다자녀 가구는 특별공급(주택의 10~15%) 대상
  • 소득 및 자산 기준 충족 시 우선 공급
  • 국민주택(85㎡ 이하) 및 민영주택(85㎡ 초과 포함) 신청 가능

 

가점제 유리

  • 청약 가점에서 부양가족 수가 많을수록 유리
  • (예) 부양가족 3명(배우자+자녀 2명) → 20점, 부양가족 4명 → 25점

🔹 2. 주택 구입 자금 지원(대출 혜택)

 

다자녀 전용 보금자리론 (한국주택금융공사)

  • 대출 한도: 최대 5억 원
  • 금리 우대: 최대 0.4%p 금리 인하
  • 소득 요건: 부부합산 연소득 1억 원 이하
  • 대상 주택: 9억 원 이하 주택

 

디딤돌 대출(국토교통부 & 주택도시기금)

  • 대출 한도: 최대 3억 원
  • 금리: 연 1.85~2.4% (다자녀 가구 0.5%p 추가 우대)
  • 소득 기준: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 원 이하(다자녀 가구 7천만 원 이하)
  • 대상 주택: 6억 원 이하 주택

 

신혼부부·다자녀 전용 전세자금 대출

  • 다자녀 가구 전세 대출 한도: 최대 3억 원
  • 금리 우대: 최대 1.0%p 인하

🔹 3. 취득세 감면 혜택

 

주택 취득세 감면(다자녀 가구 지원)

  • 3자녀 이상 가구: 취득세 50~100% 감면
  • 2자녀 가구: 취득세 50% 감면 (일부 지자체 적용)
  • 감면 대상: 85㎡ 이하 주택(수도권 6억 원, 비수도권 3억 원 이하)

🔹 4. 지방자치단체 추가 혜택

✅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다자녀 가구에게 추가 혜택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 서울시: 다자녀 전세보증금 지원, 임대주택 우선 공급
  • 경기도: 다자녀 전용 매입·전세 임대주택 공급
  • 부산·대구·광주 등 각 지자체별 추가 지원 정책 운영

 

👉 지자체별 혜택을 확인하려면 "우리 동네 다자녀 혜택"을 검색!


결론: 다자녀 가구는 청약, 대출, 취득세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음!

필요한 혜택에 따라 주택도시기금, 한국주택금융공사, 지자체 홈페이지를 참고~!!!😊

728x90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